본문 바로가기

게임 공략/젤다의 전설 Breath of the Wild

젤다의 전설 야생의 숨결 - 힘의 시련을 쉽게 클리어 하는 방법

반응형

힘1

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 [ 야생의 숨결 ]

Botw [ Breath of the Wild ]

힘의 시련에 도전하는 방법


이번 공략은 많은 분들이 고생좀 한다는 [ 힘의 시련 ] 을 쉽게 클리어 하는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이 방법은 절대로 개발사가 권하는 방법이 아닌, 뒷기술 이라는 방법으로, 젤다의 전설 야생의 숨결 게임 진행에 있어서 발생하는 어떠한 책임도 책임지지 않습니다.

이 방법은 치트급 사기기술로써, 게임 플레이에 있어서 재미가 크게 반감할 수 있으므로, 이 기술을 사용하는 선택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다만, 이 기술은 흔히들 말하는 [ 커펌 ] 이라는 것을 적용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렇게 깊게 생각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그럼 [ 힘의 시련 ] 의 공략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힘의 시련이란?
힘의 시련에 필요한 준비물은?
힘의 시련의 공략 방법은?

이번 공략은 그렇게 많은 내용이 아닙니다. 시련의 소개와 공략법으로 크게 2가지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힘의 시련을 모르시는 분들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간단한 설명을 정독하신 후에, 시련에 도전하시기 바랍니다. 


・힘의 시련이란?

힘의 시련이란, 젤다의 전설 야생의 숨결을 플레이 함에 있어서 컨트롤 연습을 하는 장소입니다. 모든 시련은 [ 사당 ]에 들에서 도전할 수 있으며, 시련의 난이도가 크게 나뉘어지고, 각 시련마다 다른 공략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뒷스킬 외에 공략법은 다른 글에서 다루기로 하겠습니다. 

힘의 시련은 총 3가지로써 [ 초급 ] [ 중급 ] [ 상급 ] 으로 나뉘어집니다. 각 난이도에는 연습용 가디언이 출현하며, 사당의 특성상 영웅의 스킬은 전혀 사용할 수 없습니다. 힘의 시련에서 출현하는 가디언은 [ 창 ] [ 도끼 ] [ 한손검 ] [ 방패 ]를 가지고 출현하며, 체력이 30%까지 내려가면 2페이즈가 시작되고, 체력이 10%까지 감소하면 3페이즈가 시작됩니다.

2페이즈에서는 자리를 고정하고, 일정 범위를 빔으로 방어하는 상태로 변합니다. 가디언 근처에는 상승기류가 발생하며, 페러세일을 응용한 공격을 연습하시면 됩니다.

3페이즈에서는 강력한 빔을 차지해서 5연속 빔 발사를 하는 상태로 변합니다. 5연속 빔은 매우 강력하며, 1번 공격을 받으면 사망할 수도 있을 정도입니다. 3페이즈에 들어가면 눈을 맞아도 상태이상이 걸리지 않으므로, 무조건 피해야 합니다.

공략이 조금 복잡하죠? 하지만, 이번에 하는 공략은 1가지 방법으로 모든 시련에 도전할 수 있으므로 크게 걱정할 필요없습니다.


・힘의 시련에 필요한 준비물은?

필자가 공략하는 방법을 하려면 2가지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이 준비물은 절대적이며, 무조건 준비해야 공략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준비물은 2가지로써, 전부 게임 중반부에 구할 수 있는 아이템들입니다. 

첫번째 아이템은 [ 속성 무기 ] 2가지 입니다. 속성 무기는 아무속성은 안되고 [ 불 ] [ 전기 ]의 속성 무기를 구해오셔야 합니다. 한손검이든 창이든 상관 없고, 속성만 부여되어 있으면 됩니다.

두번째 아이템은 [ 츄츄젤리 ] 라는 아이템입니다. 길을 다니다보면 바닥에서 튀어나오는 슬라임 같은 몬스터인 [ 츄츄 ]를 토벌하면 나오는 아이템 입니다. 필요한 개수는 10개 이상으로, 많으면 많을수록 좋습니다. 


・힘의 시련의 공략 방법은?

힘의 시련은 마을에서 가장 가까운 하테노 마을 근처에 하나가 있습니다. 거기까지 가기 위해서는 2가지의 방법이 있으며, 본인이 편한 방법을 선택해서 가면 됩니다. 그 외에도 여러곳에 힘의 시련이 있지만, 왠만해서 [ 상급 ] 힘의 시련만 골라서 돌아주시기 바랍니다. 가장 무기가 강하고 효율이 좋은 장소입니다.

힘12

하테노 마을 근처에 있는 힘의 시련에 도달하는 방법을 소개하자면, 첫번째 방법은 스테미너를 어느정도 올리고 페러세일로 날아가는 방법입니다. 상당히 먼 거리이고, 바다를 건너가야 합니다. 여러가지 뒷스킬이 있지만, 성공률이 낮으므로, 별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힘13

두번째 방법으로는 아이스 메이커를 이용해서 단거리 도약을 하는 방법입니다. 아이스 메이커를 계속 사용해야 해서 귀찮은 방법이기도 합니다. 상당히 먼거리이므로, 가는데 손가락이 마비될 수도 있으므로, 쉬엄쉬엄 도약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도약하다가 아이스 메이커 아래로 들어가게 되면, 세워둔 얼음 기둥이 파괴됩니다. 거리를 잘 계산하고 날아가시기 바랍니다. 주의할 점은 아이스 메이커는 최대 3개까지 생성할 수 있고, 4개째 생성시 가장 처음에 만든 기둥이 먼저 파괴됩니다.

힘14

2가지의 방법을 이용해서 사당에 무사히 도착했으면, 본인이 직접 게임 저장을 한번 하시기 바랍니다. 아마 높은 확률로 자동저장이 되지 않았을거라 생각합니다. 실수로 인해서 사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반드시 저장을 한번 하시기 바랍니다. 그만큼 [ 상급 ] 힘의 시련은 매우 강력한 가디언이 출현합니다. 한번 시련이 시작되면 탈출이 불가능하므로,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 차스・케타 ]의 사당 외에도 여러 힘의 시련이 있습니다. 이 공략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선택된 사당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어디를 가든 100% 먹히는 방법이므로 다른 사당에서 사용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모든준비가 되었다면, 사당에 진입하도록 하세요!

힘15

먼저 중앙으로 들어가게 되면 위에 보이는 라인은 넘어가지 않도록 하세요! 저 라인을 넘어가면 중앙에서 가디언이 출몰하게 됩니다. 그렇기에 사진에 보이는 라인을 넘어가시면 안됩니다. 준비가 되었다면 이제부터 이곳에서 가디언을 쉽게 잡기 위한 준비를 해야합니다.

힘16

먼저 [ 츄츄젤리 ] 를 던져줍니다. 자리는 어디든 상관없습니다. 본인이 던질수 있는 거리가 좋으며, 츄츄젤리가 멀리까지 흩어지지 않게 잘 던져야 합니다. 츄츄 젤리의 속성은 아무거나 상관 없으므로, 있으면 무조건 던져주면 됩니다. 사진처럼 보기좋게 뭉쳐있으면 됩니다.

힘17

젤리를 보기좋게 내려놓았다면 속성무기를 장착하고 한번 휘둘러주세요!

휘두를때 속성이 보이는데, 속성이 보이고 동작이 끝나기 전에 아이템창을 열고 착용한 무기를 해제하지 않고 바닥에 버려줍니다. 절대로 무기를 해제해서는 안됩니다. 

힘18

무기를 내려놓았다면, 마그넷 캐치를 이용해서 무기를 들어올려 [ 츄츄젤리 ]가 있는 장소로 옮겨줍니다.

그러면 츄츄젤리가 전기 속성으로 바뀌게 되고 계속해서 전기를 뿜어내게 됩니다. 단, 츄츄젤리 가까이에 가게되면 링크도 피해를 받기 때문에 가능한 거리를 두고 속성무기를 옮겨야 합니다. 사진처럼 전기가 츄츄젤리에 반응하면 성공한 상태입니다. 급할것이 없으므로 여러번 시도해보고 자신만의 느낌을 찾는게 좋습니다.

힘19

준비가 다 되었다면, 가디언을 불러내서 전기 츄츄젤리가 있는 장소에 유도하면 됩니다. 걸려들면 저렇게 감전되어서 전혀 움직이지 못하는 상황이 됩니다. 받는 대미지는 미미하지만 가장 쉽게 토벌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여기서 불속성 무기를 올려두면 더욱 빨리 처리할 수 있습니다. 불속성 무기도 전기 속성과 똑같은 방법으로 올려놓으면 됩니다.

힘10

성공하면 전기속성 공격과 불속성 공격을 번갈아가며 피해를 받게 됩니다. 이 상태에서 공격을 하게되면 젤리거 터질 위험도 있고, 가디언이 밀려나면 조금 골치아픈 상황이 벌어지게 됩니다. 어느정도 익숙해 진후에 마스터 소드로 한방씩 공격하면 쉽게 토벌할 수 있습니다.


다른 힘의 시련에서도 이 방법을 사용해서 토벌하면 됩니다. 다만, 정말로 재미가 반감하므로, 젤다의 전설에 어느정도 질렸다 싶다면 그때 사용하는 것을 강력히 권하는 바입니다. 가디언 외에도 다른 몬스터에게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잘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혹시 몰라서 동영상도 준비해 두었습니다. 이해가 잘 안되시는 분들은 동영상을 참고해서 연습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영상시작시에 나오는 광고는 제가 원해서 올린 광고가 아니고, 카카오톡 공인 광고입니다. 블로그 주인은 이 광고에서 아무런 이득도 없으므로, 저와 무관계한 광고입니다. 솔직히 저도 불편합니다. 그래도 불편함을 꾹 참고 시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